문제:
솔라리스의 NFS(Network File System)을 이용하여 NFS서버로부터 파일시스템을
마운트하는 NFS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다.
현재 네트웍에 존재하는 NFS서버의 hostname은 nserver 이며
NFS서버에서 제공하는 파일시스템은 /export/share이다.
그런데 위 NFS서버에서는 kerberos를 이용한 암호화 NFS만을 제공한다고 하며,
본 시스템(hostname은 nclient)은 이미 위 NFS서버의 principal에 등록이 된
상태이며, NFS서버로부터 kerberos ticket도 이미 받은 상태이다.
Kerberos의 암호화 옵션을 이용하여
위 NFS서버의 파일시스템을 본 시스템의 /home2로 mount하시오.
단, 이문제에서는 현재 접속된 쉘 상태에서 일회성으로 mount하면 되며,
시스템이 부팅될때마다 항상 mount되도록 설정할 필요는 없다.
NFS란? (http://www.terms.co.kr/NFS.htm 참조)
NFS는 컴퓨터 사용자가 원격지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치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것처럼 검색하고, 마음대로 저장하거나 수정하도록 해주는 클라이언트/서버형 응용프로그램이다. 사용자 시스템에는 NFS 클라이언트가 있어야하며, 다른 컴퓨터 (원격지의 컴퓨터)에는 NFS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 또한, 둘 모두 TCP/IP 프로토콜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, 왜냐하면,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보내거나 수정하는 프로그램으로 TCP/IP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(그러나, 초기버전의 NFS에서는 TCP 대신에 UDP가 사용되기도 한다). NFS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의해 개발되었으며, 파일서버의 표준으로 정착되었다. 이 프로토콜은 컴퓨터들 간의 통신 방법으로서 RPC를 사용한다. 윈도우 95와 썬(Sun)의 Solstice Network Client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는 일부 운영체계에 NFS를 설치할 수 있다. NFS를 이용하여, 사용자나 시스템관리자는 파일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설치할 수 있다. 설치된(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정된) 파일시스템은 각 사용자들의 권한에 따라 개개의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게된다. NFS는 인터넷 기술이 가미된 WebNFS로 확장되었으며, 이 제품과 제시된 표준안은 현재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 브라우저의 일부이다. WebNFS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가 웹 페이지와 다른 인터넷 파일들을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믿고 있는 바로 그것을 제공한다.
|
'예전것 > 시스템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급 : ufsdump, ufsrestore를 이용한 백업 및 복구문제 (0) | 2009.05.31 |
---|---|
초급 : Linux 시스템상의 /etc/lilo.conf 파일을 통한 물리적 보안 설정 (0) | 2009.05.30 |
중급 : checksum값을 이용한 백도어 검출 문제 (0) | 2009.05.29 |
중급 : umask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설정 문제 (0) | 2009.05.28 |
중급 : 네크웍서비스 데몬 설정 변경 문제 (0) | 2009.05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