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 10
20 20
30 30
위의 코드에서 *array[3] 은 분명 3개의 주소를 저장하는 공간이다.
arr1, arr2, arr3의 주소를 저장하였다.
그런데 array[0][0] array[0][1] 이건뭔가?
뒤로 돌아가서
void main()
{
char carr[3] = { 'A', 'B', 'C'};
char *cp = carr;
printf("%c %c %c", cp[0], cp[1], cp[2]);
}
위의 코드에서 cp[0]..이런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것을 배웠었다.
따라서 array[0] <= 이것자체는 arr1의 주소를 담고있다. array[0][0] 하면 0번째 인덱스의 값을 참조
그값은 바로 10이다.
20 20
30 30
arr1, arr2, arr3의 주소를 저장하였다.
그런데 array[0][0] array[0][1] 이건뭔가?
뒤로 돌아가서
void main()
{
char carr[3] = { 'A', 'B', 'C'};
char *cp = carr;
printf("%c %c %c", cp[0], cp[1], cp[2]);
}
위의 코드에서 cp[0]..이런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것을 배웠었다.
따라서 array[0] <= 이것자체는 arr1의 주소를 담고있다. array[0][0] 하면 0번째 인덱스의 값을 참조
그값은 바로 10이다.
'예전것 >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pragma once (0) | 2009.09.12 |
---|---|
매개 변수 2을(를) 'const char [29]'에서 'LPCWSTR'(으)로 변환할 수 없습니다. (0) | 2009.09.11 |
포인터 세번째, 여러가지 포인터 비교 (0) | 2009.06.25 |
포인터와 함수. (0) | 2009.06.23 |
C 포인터 와 scanf buf에 대해 (0) | 2009.06.23 |